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전세계약 만료 통보, 이렇게 쓰면 깔끔하고 확실해요 (문자/카톡 예시 포함)

by 나이스무무 2025. 10.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
혹시 임대차 계약이 곧 만료되는데 세입자에게 어떻게 안내해야 할지 고민 중이신가요?

오늘은 전세계약 만료 안내 메시지 예시들을 정리해서 공유해볼게요.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정중하면서도 명확하게 실거주 의사를 전달하고, 보증금 반환과 점검, 이사 일정 협의까지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는 문구를 준비했어요.

카톡이나 문자로 바로 보낼 수 있는 버전부터, 격식을 차린 내용증명용 버전까지 있으니 상황에 맞게 활용해 보세요!


🏡 세입자에게 전세계약 만료 통보할 때 꼭 챙겨야 할 것

보내기 전에 아래 사항들을 꼭 확인해 주세요:

  • 계약 만기일 정확히 확인하기 (예: 2026.02.28)
  • 주소, 동·호수, 계약자 성함 정확히 표기
  • 연락처 명시 + 회신 요청 문구 포함
  • 보증금 반환 방식과 날짜 안내하면 신뢰도 UP
  • 카톡/문자 둘 다 보내기 또는 내용증명/등기 검토

✉️ 전세계약 만료 통보 예시문 모음

1. 기본형 (정중하고 깔끔한 스타일)

 
[세입자님 성함]께 안녕하세요, [집주인 성함]입니다. [주소/동·호수] 전세계약이 [만기일]에 만료됨에 따라, 계약 종료 후 제가 직접 입주할 예정임을 미리 안내드립니다. 계약 종료 절차와 보증금 반환 일정은 계약서 및 관련 절차에 따라 성실히 진행하겠습니다. 점검 일정과 이사 일정은 편하신 때에 상의 드리고 싶습니다. 연락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락처: [전화번호])

✔️ 상황: 예의는 지키되 너무 딱딱하지 않게 전달하고 싶을 때
✔️ 추천 방식: 카카오톡 또는 문자


2. 더 격식 있게 (문자·카톡 공용, 내용증명용도 가능)

 
[세입자님 성함] 귀하 안녕하세요. [주소/동·호수]의 소유자 [집주인 성함]입니다. 귀하와 체결한 전세계약이 [만기일]로 만료됨에 따라, 만기 이후 본인이 실거주 목적으로 입주할 예정임을 사전 통지드립니다. 보증금 반환 및 원상복구 등 모든 절차는 계약 내용과 정해진 절차를 준수하여 진행하겠습니다. 원활한 이사 준비를 위해 점검/퇴거 일정 협의를 부탁드립니다. 편하신 시간에 회신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연락처: [전화번호])

✔️ 상황: 공식적인 느낌으로 통지할 때, 추후 법적 분쟁 예방 목적
✔️ 추천 방식: 문자 + 내용증명 등기우편 병행


3. 아주 짧게 (필요사항만 쏙쏙)

 
안녕하세요, [집주인 성함]입니다. [주소/동·호수] 전세계약이 [만기일] 만료되어, 만기 후 제가 실거주 입주 예정입니다. 보증금 반환·점검·이사 일정 협의드리려 연락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락처: [전화번호])

✔️ 상황: 세입자와 이미 친분이 있거나 빠르게 공지만 하고 싶을 때
✔️ 추천 방식: 문자 or 카톡


4. 보증금 반환 일정까지 명확히 (신뢰 강조)

 
안녕하세요, [세입자님 성함]님. [집주인 성함]입니다. [주소/동·호수] 전세계약 만기일은 [만기일]이며, 만기 후 제가 실거주 입주 예정입니다. 보증금은 [지급일/방법: 예) 만기일 당일 계좌이체]로 반환드리겠습니다. 계좌는 [계좌정보 요청/등록 계좌 확인]하겠습니다. 점검 및 열쇠 인수, 이사 일정은 편하신 시간에 협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락처: [전화번호])

✔️ 상황: 보증금 관련 불안감을 미리 줄이고 싶을 때
✔️ 추천 방식: 문자 + 카톡 병행


5. 점검 방문 먼저 잡고 싶을 때

 
안녕하세요, [세입자님 성함]님. [집주인 성함]입니다. [주소/동·호수] 전세계약이 [만기일] 만료되어, 만기 후 실입주 예정입니다. 원만한 정산을 위해 [희망 날짜·시간]에 사전 점검 방문 가능하실까요? 어려우시면 가능한 일정을 알려주시면 맞추겠습니다. 보증금 반환은 계약서와 절차에 따라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연락처: [전화번호])

✔️ 상황: 이사 전에 미리 점검 스케줄을 잡고 싶을 때
✔️ 추천 방식: 카카오톡 or 문자


💡추가 팁: 메시지 보낼 때 이런 점도 체크해요

  • 만기일 최소 2~3개월 전에 통보하는 것이 예의 + 실거주 목적의 갱신거절 사유로 충분
  • 통보 증거 확보가 중요: 카톡 읽음 확인, 문자 캡처, 내용증명 등 활용
  • 계약서 내용 다시 점검: 보증금 반환 조건, 원상복구 항목 등 체크
  • 세입자와 원활한 소통 유지: 협의가 가장 중요해요!

✍️ 마무리하며

전세계약 만료 통보는 단순한 공지가 아니라, 마지막까지 깔끔하고 기분 좋게 마무리하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이에요. 세입자분들도 이사 준비로 바쁠 텐데, 집주인 입장에서 먼저 정중하게 연락하면 협의도 훨씬 수월하답니다 😊

위의 예시문 복사해서 상황에 맞게 살짝만 수정하면 바로 사용 가능하니, 꼭 저장해두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