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공약이 바뀌면 사람도 바뀌는 걸까? 이재명 대선 공약

by 나이스무무 2025. 5. 2.
반응형
반응형

공약이 바뀌면 사람도 바뀌는 걸까?

대선을 앞두고 많은 유권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건 바로 후보의 ‘공약’이죠. 그중에서도 이재명 후보는 2022년 대선에서 파격적이고 강력한 개혁 의지를 담은 공약들을 제시했었는데요, 2025년 대선을 앞두고는 꽤 달라진 노선을 걷고 있어요.

그렇다면 이재명 후보의 공약은 어떻게 바뀌었고, 우리는 그 변화를 신뢰해도 될까요? 직접 비교해서 알아봅시다.

 


 

이재명 공약 변화 비교표

정책 분야2022년 공약2025년 공약변화 

 

 

부동산 기본소득형 주택, 국토보유세 신설 4기 신도시 개발, 재건축 규제 완화 세금 중심 → 공급 중심 전환 현실 고려한 조정, 비교적 신뢰 가능
소득 정책 전국민 기본소득 단계적 도입 청년·노년층 등 선택적 기본소득 도입 전면 도입 → 타겟형 지원으로 조정 재정 현실 반영, 유연한 대응
에너지 탈원전,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대 탄소중립 목표 유지 + 원전 일정 역할 인정 이념 중심 → 실용 중심 조정 에너지 안보 고려, 실행력 확보 의지
복지 정책 전국민 의료보장 강화, 공공의료 확대 지방의료체계 강화 및 AI 기반 건강 시스템 국가 중심 → 지방 분권 중심 확대 기술 및 지역 균형 강조, 신뢰도 높음
청년 정책 청년기본소득, 청년 주택 반값등록금, 청년창업펀드 확대 복지성 → 경제활성화로 방향 전환 재정 지속성 고민 엿보임, 실현성 있음
 

 

공약 변화의 원인 분석

  1. 정치적 실용주의 강화
    문재인 정부 시절 부동산 문제와 기본소득 논란을 의식한 듯, 이재명 후보는 보다 ‘실현 가능한’ 공약으로 수정해 나갔습니다.
  2. 재정 현실 인식
    국채 비율과 경제성장률 하락 등 재정 여건을 고려해 전면적인 복지 확대보다는 타겟형 복지로 선회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유권자 층 재구성
    중도층과 실용주의적 보수층까지 아우르기 위해, 과거의 강한 진보 노선보다는 조정된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

공약은 바뀌어도, 진심이 담겼다면

공약의 변화는 비판받을 수 있지만, 시대적 요구와 현실을 고려한 조정이라면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해요. 중요한 건, 그 변화가 진정성 있게 설계되었고, 실행 의지를 갖췄느냐는 것이죠.

이재명 후보의 공약은 지금껏 이상주의와 현실 사이를 오가며 진화해왔고, 이번 2025년 대선에서는 실용주의로 크게 기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요. 이를 무조건적인 ‘말 바꾸기’로만 보기보다는, 시대 변화에 맞춘 유연한 대응인지 잘 판단하는 게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