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

핸드메이즈 테일 시즌 2 완전 정리: 그녀의 저항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스포 포함)

by 나이스무무 2025. 5. 3.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핸드메이즈 테일(The Handmaid's Tale)』 시즌 2에 대해 깊이 있게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시즌 1에서 준 오스본의 고통과 저항의 시작을 보았다면, 시즌 2에서는 그녀의 저항이 어떻게 확장되고, 다른 인물들과 어떤 연대를 형성하는지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그럼, 함께 이 디스토피아 세계로 다시 들어가 볼까요?


🌍 시즌 2 개요: 저항의 확산과 인물들의 변화

시즌 2는 시즌 1의 마지막 장면에서 이어집니다. 준은 '눈(Eyes)'에 의해 끌려가지만, 이는 닉의 도움으로 탈출을 위한 것이었죠. 그러나 그녀의 자유는 오래가지 못하고 다시 길리어드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 시즌에서는 준뿐만 아니라 다른 인물들의 내면과 변화도 깊이 있게 다뤄집니다.


👥 주요 인물들의 변화와 성장

  • 준 오스본 / 오프레드 (엘리자베스 모스): 시즌 2에서는 단순한 생존자가 아닌, 적극적인 저항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줍니다. 그녀의 결단과 행동은 다른 시녀들에게도 영향을 미치죠.
  • 세레나 조이 워터포드 (이본 스트라호브스키): 체제의 설계자 중 한 명이지만, 여성으로서의 억압을 직접 경험하며 내적 갈등을 겪습니다.
  • 에밀리 / 오브글렌 (알렉시스 블레델): 콜로니에서의 끔찍한 경험 후, 다시 시녀로 돌아오며 더욱 강인한 저항의 의지를 다지게 됩니다.
  • 닉 블레인 (맥스 밍겔라): 준과의 관계에서 복잡한 감정을 느끼며, 그녀를 보호하려는 노력을 계속합니다.
  • 조셉 로렌스 사령관 (브래들리 휘트포드): 시즌 후반부에 등장하며, 체제의 모순을 인식하고 있는 인물로, 준의 탈출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시즌 2 에피소드별 상세 정리

1화: "June"

준은 닉의 도움으로 탈출을 시도하지만, 다시 붙잡혀 길리어드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녀는 자신의 정체성을 되찾기 위해 오프레드라는 이름을 버리기로 결심하죠.

2화: "Unwomen"

에밀리는 콜로니로 보내져 방사능에 노출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해 애쓰며, 준은 새로운 은신처에서 과거를 회상합니다.

3화: "Baggage"

준은 탈출을 위해 공항으로 향하지만, 계획이 실패로 돌아가고 다시 붙잡혀 길리어드로 돌아오게 됩니다.

4화: "Other Women"

준은 다시 워터포드 가문에 배정되어 오프레드로서의 삶을 강요받으며, 과거의 선택에 대한 후회를 느낍니다.

5화: "Seeds"

준은 임신 중 출혈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고, 닉은 강제로 어린 아내 이든과 결혼하게 됩니다.

6화: "First Blood"

길리어드의 새로운 센터 개관식에서 자폭 테러가 발생하여 많은 사령관과 시녀들이 사망합니다.

7화: "After"

테러 이후 길리어드는 혼란에 빠지고, 준은 프레드의 회복을 돕는 동시에 세레나와 협력하여 권력을 행사합니다.

8화: "Women's Work"

준과 세레나는 병든 아이를 살리기 위해 여성 의사를 몰래 고용하고, 이로 인해 세레나는 처벌을 받게 됩니다.

9화: "Smart Power"

프레드와 세레나는 캐나다를 방문하고, 닉은 루크에게 준의 소식을 전하며 저항의 불씨를 지핍니다.

10화: "The Last Ceremony"

준은 딸 해나를 잠시 만나게 되지만, 곧 다시 붙잡혀 길리어드로 돌아오게 됩니다.

11화: "Holly"

준은 홀로 아이를 출산하며, 자신의 어머니 홀리를 기리기 위해 딸의 이름을 홀리라고 짓습니다.

12화: "Postpartum"

준은 아이를 빼앗기고, 에밀리는 새로운 사령관 조셉 로렌스에게 배정되어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합니다.

13화: "The Word"

준은 딸 홀리를 에밀리를 통해 캐나다로 보내고, 자신은 해나를 구하기 위해 길리어드에 남기로 결심합니다.


✨ 감상평: 희망과 저항의 서사

시즌 2는 단순한 생존의 이야기를 넘어, 희망과 저항의 서사를 깊이 있게 그려냅니다. 준의 결단과 행동은 다른 시녀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며, 체제에 대한 저항의 불씨를 지피게 됩니다. 또한, 세레나의 내적 갈등과 에밀리의 변화는 체제의 모순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