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육아휴직 급여 얼마 받을까? 쉽게 계산하는 법!

by 나이스포스 2025. 3. 19.
반응형
반응형

 

 

육아휴직을 신청하려고 보면 가장 궁금한 게 바로 “급여를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야. 아무래도 휴직 기간 동안 생활비가 걱정되니까 말이야. 육아휴직 급여는 정부에서 지원해주지만, 월급의 몇 퍼센트가 지급되는지, 최대 금액은 얼마인지, 지급 방식은 어떻게 되는지 헷갈리는 부분이 많지?

오늘은 육아휴직 급여를 쉽게 계산하는 법부터 지급 기준, 지급일, 실수령액 예시까지 싹 정리해볼게!

 

 

 

육아휴직 급여

 

1. 육아휴직 급여 지급 기준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정부에서 월급의 일정 비율을 급여로 지급해. 그런데 무조건 100% 주는 건 아니야. 아래 기준을 참고해 봐!

육아휴직 급여 지급 비율

  • 휴직 1~3개월: 통상임금의 80% 지급 (최대 월 150만 원)
  • 휴직 4~12개월: 통상임금의 50% 지급 (최대 월 120만 원)

총 급여 지급액 (최대 1년간)

  • 최소 월 70만 원 ~ 최대 월 150만 원
  • 단, 1~3개월 동안 받은 급여 중 25%는 복직 후 6개월 근무하면 추가 지급됨!

통상임금이란?

  • 기본급 +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
  • 상여금, 식대, 교통비 등은 제외

 

2. 육아휴직 급여 쉽게 계산하는 법

내가 받을 육아휴직 급여가 정확히 얼마인지 알고 싶다면 간단한 계산 공식을 사용하면 돼!

첫 3개월 급여 계산
(월급 × 80%) = 지급액 (단, 최대 150만 원)

4~12개월 급여 계산
(월급 × 50%) = 지급액 (단, 최대 120만 원)

예시로 계산해볼까?

월급 300만 원인 경우

  • 1~3개월: 300만 원 × 80% = 240만 원 → 하지만 최대 금액이 150만 원이므로 150만 원 지급
  • 4~12개월: 300만 원 × 50% = 150만 원 → 하지만 최대 금액이 120만 원이므로 120만 원 지급

월급 180만 원인 경우

  • 1~3개월: 180만 원 × 80% = 144만 원 (전액 지급)
  • 4~12개월: 180만 원 × 50% = 90만 원 (전액 지급)

복직 후 추가 지급 (25%)
육아휴직 첫 3개월 동안 받은 급여의 25%는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무해야 추가로 지급돼.

예를 들어, **첫 3개월 동안 총 450만 원을 받았다면 112.5만 원(25%)**은 복직 후 받을 수 있어!


 

3. 육아휴직 급여 지급일은 언제일까?

육아휴직 급여는 신청 후 약 14일 이내에 지급돼. 그리고 이후 매월 지급일은 신청한 날짜 기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돼.

급여 지급일 예시

  • 1월 5일에 신청 → 1월 19일경 지급
  • 이후 매월 19일 전후로 지급

 

4. 육아휴직 급여 신청 방법

회사 승인을 받은 후,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직접 신청해야 해.

신청 방법

  1.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www.ei.go.kr)
  2. 로그인 후 육아휴직 급여 신청 선택
  3. 필요 서류 제출
    • 육아휴직 확인서 (회사에서 발급)
    • 급여명세서 (최근 3개월 치)
    • 통장사본
  4. 심사 후 약 14일 내 지급

 

5. 육아휴직 급여, 꼭 알아야 할 꿀팁!

맞벌이라면 아빠도 육아휴직 신청 가능!

  • 부부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도 있음
  •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로 두 번째 육아휴직자는 첫 3개월 급여를 100% 지급 (최대 250만 원)

1년에 10일 정도 근무 가능!

  • 휴직 중에도 월 10일 이하 근무 가능
  • 단, 근무한 기간만큼 급여에서 차감

육아휴직 중 국민연금 & 건강보험료 감면 가능!

  • 건강보험료는 50% 감면
  • 국민연금은 본인 부담금 면제

급여 지급 중단되는 경우 주의!

  • 휴직 중 다른 회사에서 일하면 급여 중단
  • 복직 후 6개월 이내 퇴사하면 추가 급여 못 받음

 

마무리

육아휴직 급여, 이제 좀 감이 잡혔지? 첫 3개월은 월급의 80%, 이후 50%가 지급되지만, 최대 금액이 정해져 있어서 월급이 높을수록 실수령액은 줄어들 수도 있어.
그래도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혜택이니 꼭 활용해야겠지?

육아휴직 급여 관련해서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줘!

728x90
반응형